본문 바로가기

도메인2

DNS에 대해 파헤쳐 보자 1. DNS 정의 DNS란? 쉽게 이야기하여 인터넷 주소를 이름으로 바꾸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DNS 필요성 TCP/IP 프로토콜은 개체를 구분하기 위해서 인터넷에서 호스트 연결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IP를 사용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주소보다는 이름으로 사용하고자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주소를 이름으로 바꾸어주는 시스템이 필요해졌다. 인터넷 규모가 작을때는 호스트 파일(host file)을 사용하여 맵핑이 가능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규모가 커짐으로써 방대한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 네임서버 도메인은 도메인 네임 공간의 서브트리이다. 도메인 네임은 서브트리의 맨 상위에 있는 노드에 위치한다. www . google . com . 3차 도메인 2차 도메인 1차 도메인 Root 도메인 영.. 2022. 3. 14.
Kubernetes - Headless Service Headless Service 정의 ClusterIP가 없는 서비스로 단일 진입점이 필요 없을 때 사용 Service와 연결된 Pod의 endpoint로 DNS 레코드가 생성됨 쿠버네티스 coreDNS에 등록되며 DNS resolving Service로 요청이 가능해진다. Pod의 DNS 주소: pod-ip-addr.namespace.pod.cluster.local 생성 사전에 Deployment를 먼저 생성하고 그 다음에 Service를 생성하여 묶어준다. root@master:~# cat > deploy-nginx.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webui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 2021. 11.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