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OSI 7계층

category DevOps/네트워크 2021. 10. 25. 22:32
728x90
반응형

개요

모든 네트워크 통신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국제표준기구(ISO)에서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기본 모델로써 통신망을 통한 상호접속에 필요한 제반 통신절차를 정의하고 이 가운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동일계층으로 분할하여 모두 7계층으로 분할한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랜선을 연결해서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을 보기까지 네트워크 과정을 모델로 정의한 것이다."

OSI 7 계층 모델

출처 : https://velog.io/@dyllis/OSI-7%EA%B3%84%EC%B8%B5-%EC%A0%95%EB%A6%AC

계층간 역할

  데이터 단위 계층 기능 프로토콜
호스트
계층
데이터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을 말한다. 게이트웨이, HTTP, DNS, FTP, NFS, NTP, SMPP, SNMP, 텔넷, DHCP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표현, 암호화 및 암호 해독, 기계 종속 데이터를 기계 독립 데이터로 변환한다. MIME, XDR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계층이다. 호스트 간 통신, 애플리케이션 간 세션 관리를 담당한다. NetBIOS, RTP, SPDY
세그먼트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양 끝단(End to End)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계층이다. TCP, UDP
미디어
계층
패킷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IP주소를 제공하는 계층이다.노드들을 거칠때마다 라우팅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라우터, IP, ICMP, IGMP, IPX,ARP, RARP
비트 2.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Point to Point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 오류 검출을 수행한다. 브리지, MAC, PPP
1. 물리계층
(physical layer)
전기적인, 기계적인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하는 계층이다. 비트 0, 1의 통신단위로 통신한다.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
리피터

 

728x90
반응형

'DevOp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rtbot으로 Ubuntu의 Nginx 인증서 발급  (0) 202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