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A 자격증 후기

category 자격증/CKA 자격증 2025. 1. 31. 17:21
728x90
반응형

있으면 있는 것이고 없어도 무방할 것이라 생각했었기에 CKA 접수를 1년 전에 해놓고 묵혀두고 있었다.
미리 결제를 먼저 해놓고 있었던 이유는 CKA 자격증은 접수비가 비싼 편이라서 블랙 프라이데이에 반값 할인으로 결제했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올해 43살(만 41살)이 되는 나이에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 않으며 누구나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어서 이것을 딴다고 해서 지금 직장의 연봉에 영향을 미치거나 삶의 변화를 주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하는 것은 내 삶의 일부에 동기부여를 다시 한번 불어넣고 목표 의식을 잡기 위해서가 컸었다.

 

기억은 안 나지만 10년도 넘는 시간 동안 느껴보지 못했었던 시험에 대한 공부와 일정 관리 능력을 수험생으로 다시 돌아가게 느끼게 해 주었다.

 

결과론적으로는 무난히 자격증 취득을 할 수 있었고 그에 대한 시험 준비 과정과 절차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시험 공부 과정

따쿠배 유튜브

"나는 쿠버네티스가 먼지도 모른다. 쌩 기초가 없다"라는 분들은 따쿠배 유튜브를 보시는 것을 추천한다.

설명을 차근차근 잘해주시고 워낙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베테랑이라고 생각하는 분이기에 개인적으로 추천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Udemy

동영상 내용도 좋고 KodeKloud 실제로 실습할 문제 풀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된다.

https://www.udemy.com/course/certified-kubernetes-administrator-with-practice-tests/

Killer.sh

시험과 유사한 문제 유형을 제공해준다. 안내문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실제 CKA 시험 난이도는 이보다 쉽기 때문에 너무 부담 갖지 말고 한번 풀이해 보면 될듯하다.

https://killer.sh/dashboard

시험 접수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주관하므로 CKA 접수 페이지를 클릭하여 접수하도록 한다.

가격은 $395 (약 57만원,  환율: 1451.20) 으로 매우 비싼 편이다.

 

이 금액 그대로 결제하지말자. 바쁘게 시험을 치르시는 분들은 쿠폰을 찾아보길 바라며 가장 싸게 접수를 하는 방법은 싸이버먼데이, 블랙 프라이데이를 이용하여 반값에 결제를 하도록 하자. (응시는 나중에 하더라도)

 

불합격했더라도 두 번의 기회를 준다.

(단, 주의할 점은 노쇼를 할 경우 한 번의 기회로 끝나기 때문에 반드시 시험을 응시하기 바란다.)

 

시험 장소

스터디룸을 빌리거나 사무실에 보는 사람도 있지만, 필자는 집의 책상도 옮기고 정리 좀 해서 시험 환경을 만들어서 보았다. 주의사항은 아래처럼 옮겨 놓았으니 참고하면 좋을 거 같다.

  • 깔끔한 작업 공간
    • 표면 위에 종이, 필기구, 전자기기 또는 기타 물체 등의 물체를 올려놓지 마십시오.
    • 시험 표면 아래에 종이, 쓰레기통 또는 기타 물체와 같은 물체가 없어야 합니다.
  • 벽을 비우다
    • 벽에 종이/인쇄물을 걸지 마세요
    • 그림 및 기타 벽 장식은 허용됩니다.
    • 시험이 시작되기 전에 응시자는 장식이 아닌 품목을 제거해야 합니다.
  • 조명
    • 감독관이 응시자의 얼굴, 손 및 주변 작업 영역을 볼 수 있도록 공간은 충분히 밝아야 합니다.
    • 응시자 뒤에 밝은 조명이나 창문이 없어야 합니다.
  • 다른
    • 시험 동안 응시자는 카메라 프레임 안에 머물러야 합니다.
    • 공간은 과도한 소음이 없는 사적인 공간이어야 합니다. 커피숍, 매장, 오픈 오피스 환경 ​​등과 같은 공공 공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https://docs.linuxfoundation.org/tc-docs/certification/tips-cka-and-ckad

시험 장치

  • 노트북으로 시험을 보았으며 모니터 연결하고 노트북 화면 덮어두었다. (듀얼 모니터만 아니면 된 거라서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큰 화면으로 시험을 볼 수 있다.)
  • 노트북에 달려있는 내장 웹캠 말고 하나 사도록하자. 얼마 안 한다.

 

필자는 플리커 현상 (웹캠 깜박임)이 발생하여 이에 지적을 받고 대응하였다. 

플리커 현상이란? 조명이 빠르게 점멸하지만 눈으로는 지속적으로 켜져 있는 것처럼 보임.

 

절대 당황하지 말고 차분히 대응해 보자. 

 

Windows 10 기본 카메라 앱 실행 → 설정 → 깜빡임 감소 옵션에서 50Hz를 60Hz로 또는 60Hz를 50Hz로 변경.

플리커 현상이 지속되면 웹캠 사용 공간의 조명을 끄고 확인하는 것도 하나의 변경이다.

 

시험 환경

부정행위 때문에 타 브라우저가 아닌 PSI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한다.

kubernetes.io 사이트 접속을 제공하며 다른 사이트들은 원천 차단이 되어있다. 공부할 때처럼  Ctrl + F 하고 검색하면서 스크롤 쫙쫙 내려서 볼 수 있을 정도의 환경은 아니다. 왜냐하면 검색이나 마우스 스크롤도 굉장히 느리기 때문에 이 점 감안하면서 보셔야 할 것 같다.

 

단축키

단축키 헷갈리지 말자. 조작이 헷갈릴 수 있다. Terminal에서 사용하던 단축키 그대로 FireFox에서 검색하고 복사하려고 사용하려다 브라우저 디버깅 창이 나오고 난장판이 아니었었다.  

 

Terminal

  • 복사 : Ctrl+Shift+C
  • 붙이기 : Ctrl+Shift+V

FireFox

  • 복사 : Ctrl+C
  • 붙이기 : Ctrl+V

 

시험 당일

시험 환경 체크

30분 전 시험 시작 버튼이 오픈이 되기 때문에 이때 미리 입실해서 시험 환경을 체크하는 것이 좋다.

  • 물 병 검사 (라벨이 있는 물병은 안됨). 
  • 시험 환경 주위 360도 웹캠으로 스캔하면서 보여주기
  • 책상 밑, 마우스 패드 밑, 키보드 밑 보여주기
  • 핸드폰 보여주고 멀리 떨어진 곳으로 놓기
  • 귀에 이어폰이나 장치가 있는지 귀 검사
  • 손목에 스마트 워치가 있는지 검사

보통 이 순서대로 진행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시험 문제

난이도는 너무 크게 어렵진 않다. 한 달 이내로 공부하면 누구나 충분히 취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몇 가지 기억나는 걸 적는다면....

 

  • NetworkPolicy의 Ingress Rule 설정
  • Ingress 생성하여 Service 연결
  • ClusterRole, ServiceAccount, ClusterRoleBinding 설정
  • ETCD 백업 및 복구 처리
  • Master Node 버전 업그레이드
  • 등등...

마치며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에게 CKA 합격을 기원한다.

블로그 보면 다들 인증샷 남기던데 나이 쳐먹고 주책인지 몰라도 나도 한번 남겨보자. ㅎㅎㅎ

728x90
반응형